2010년 9월 9일 목요일

PCOMM 화면 크기 조절

화면을 40x132로 변경하는 방법
    1. Create a PCOM session

    2. 텍스트 편집기(notepad 등)로 1에서 생성한 profile을 연다. ( .ws 파일 )
      C:\Documents and Settings\<your windows username>\Application Data\IBM\Personal Communications\<profilename>.WS
    3.  .WS 파일은 아래와 비슷한 내용이 들어 있게 된다.
    [Profile]
    ID=WS
    Version=6
    [Telnet3270]
    HostName=hostsystem.ibm.com
    Security=N
    AutoReconnect=Y
    [Communication]
    Link=telnet3270

    TerminalTypeString=IBM-DYNAMIC <== Specify only in PCOMM 5.9 and later
    [3270]
    ScreenSize=43x80
    QueryReplyMode=Auto
    HostCodePage=1047-U
    [Keyboard]
    CuaKeyboard=1
    Language=United-States
    DefaultKeyboard=C:\Documents and Settings\Someuser\Application Data\IBM\Personal Communications\kb.kmp
    IBMDefaultKeyboard=N
    [VT]
    VTCaptureLogFileName=C:\Documents and Settings\Someuser\My Documents\hostsystem.txt
    [Colors]
    BaseColorNormalProtected=5BECE9 000000
    ExtendedColorBlue=58F0F0 000000


    4. [3270] 섹션의 ScreenSize 를 40x132로 고친다. 없으면 추가한다.

    5. 파일을 저장한다. 기본 내용을 보존하고 싶으면 다른이름으로 저장한다.

    6. PCOMM을 시작하고, 작성한 profile을 시작 한다.

    7. Log on 을 아래처럼 dynamic logmode를 이용하여 한다.

    LOGON APPLID(TSO) LOGMODE(D4C32XX3)

    8. TSO 로그인을 하고, ISPF 의 셋팅으로 들어간다. (Settings 라고 입력).

    9. ISPF Settings 화면에서 Screen format 값을 3 (Max)으로 변경. Terminal Type 값을 4 (3278A)로 변경

2010년 8월 4일 수요일

Android 개발하기 1 - Hello World 1

출처 : http://developer.android.com/resources/tutorials/hello-world.html

개발 환경이 만들어 졌다면,

1. project 만들기

new -> project -> Android -> Android Project


Project 이름과, 나머지 Properties를 입력한다.

Project Name
Eclipse Project name — project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이름 ( workspace에 가보면 해당 project 이름의 폴더가 존재함 ).
Application Name
사용자에게 보여질 어플 이름 — 설치되는 어플 이름이 됨.
Package Name
자바 패키지 이름, 설치되는 시스템 내에서 유일해야 하므로 본인만 쓸게 아니라면 신중히 해야 함.
Create Activity
생성될 클래스 이름. 이 클래스는 Android의 Activity 클래스의 서브 클래스로 시작 하는 클래스 임.
Min SDK Version
This value specifies the minimum API Level required by your application. For more information, seeAndroid API Levels.
Finish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와 관련 파일들이 생긴다. 

2. layout 추가

만들어진 HelloAndroid.java 파일을 연다. 다음처럼 되어 있다.

package com.example.helloandroid;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public class HelloAndroid extends Activity {
   
/** Called when the activity is first created.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
(R.layout.main);
   
}
}
onCreate()는 Activity에 정의 되어 있으며, 이 메소드를 override 한다고 선언되어 있다.
 onCreate() 메소드는 activity가 시작될때 Android system이 호출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초기화와 UI setup을 수행 해야 한다.

3. Test

eclipse에서 Run configuration을 통해 테스트 클래스를 등록 한다.

실행을 하면 AVD가 실행되고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AVD에 자동으로 어플이 설치 되므로 따로 설치나 설치제거를 할 필요 없음.

2010년 6월 25일 금요일

Android 개발 환경 구성

참조 : http://developer.android.com/sdk/installing.html
  1. download & unzip
  2. Eclipse에 ADT plugin 설치 ( http://developer.android.com/sdk/eclipse-adt.html )
    eclipse 3.5 ( Galileo ) : Help > Install New Software
    Add : https://dl-ssl.google.com/android/eclipse/
  3. Eclipse 재시작
  4. Eclipse(Window > Preferences)에 SDK 위지 지정
  5. Android SDK and AVD Manager 실행 ( Window > Android SDK and AVD Manager )
  6. Available Packages 선택, 사용할 패키지 선택 , Install Selected
    Antivirus가 실행시 경고창이 나타날 수 있으며, antivirus의 실시간 감시를 끄고 확인을 누르면 다시 진행 됨.
  7. Virtual Devices 작성
  8. Start 버튼을 눌러 AVD 실행

2010년 5월 28일 금요일

JDK logger 초기화

LogManager logMgr = LogManager.getLogManager();
URL configURL = getClass().getResource("/config/JDKLog.properties");
InputStream ins;
           try {
               ins = configURL.openStream();
               if( ins != null )
                   logMgr.readConfiguration(ins);
               else
                   logger.log( Level.WARNING, "Failed to open JDKLog.properties");
           } catch (IOException e) {
               // TODO 자동 생성된 catch 블록
               e.printStackTrace();
           }

---------------------JDKLog.properties-------------------
handlers=java.util.logging.ConsoleHandler
java.util.logging.ConsoleHandler.level=ALL
.level=FINEST

2010년 1월 27일 수요일

Ubuntu 9.10 + GeForce 7300 LE + Lenovo L2440x wide 설정

gtf를 시행하여 1920x1200@60Hz에 해당하는 Modeilne 값을 찾아 낸다.

# gtf 1920 1200 60 -x

  # 1920x1200 @ 60.00 Hz (GTF) hsync: 74.52 kHz; pclk: 193.16 MHz
  Modeline "1920x1200_60.00"  193.16  1920 2048 2256 2592  1200 1201 1204 1242  -HSync +Vsync

이 값을 xorg.conf에 추가 하고, 모니터가 지원하는 HorizSync 값을 지정 한다.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VendorName   "Monitor Vendor"
        ModelName    "Monitor Model"
    HorizSync       29.0 - 90.0
#    VertRefresh     50.0 - 60.0
 # 1920x1200 @ 60.00 Hz (GTF) hsync: 74.52 kHz; pclk: 193.16 MHz
  Modeline "1920x1200_60.00"  193.16  1920 2048 2256 2592  1200 1201 1204 1242  -HSync +Vsync

    Option         "DPMS"
EndSection

설정이 끝나면 gdm을 다시 시작 한다.

# restart gdm
gdm start/running, process 31107

로그인 후 display에서 해상도를 변경 한다.


2010년 1월 25일 월요일

Ubuntu 9.10에서 윈도 폰트 사용하기

sudo apt-get install ttf-mscorefonts-installer
sudo apt-get install ttf-liberation

또는 시냅틱 관리자에서 ttf-mscorefonts-installer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ttf-liberation까지 포함되어 설치 된다.

그리고 나서 다음의 순서대로 .fonts 폴더를 생성하고 폰트를 복사한다.
  1. Go to your home folder
  2. Enable “Show Hidden Files” option from Nautilus View menu
  3. Then create new folder with name “.fonts” (with dot in front)
  4. Now in new folder copy all your true type fonts. If you want to copy your Windows fonts, you can find it in WINDOWS/Fonts folder.
  5. Now restart and new fonts will be in use.